다양한 변화가 예상되는 2025년. 최저임금이 1만 원대에 진입하고, 육아휴직 급여가 인상되는데요. 그밖에 달라지는 주요 정책과 제도 변화를 미리 살펴보려 합니다.
최저임금 시간당 10,030원
2025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1만 원을 넘게 되었고, 2024년의 최저임금인 9,860원에서 1.7% 인상된 금액입니다.
육아휴직 급여 인상
2025년부터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이 첫 3개월은 250만 원, 다음 3개월은 200만 원, 나머지 6개월은 16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상한액은 220만 원으로 오르고,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는 5일에서 20일로 늘어납니다. 또한 대체인력지원금은 월 120만 원으로 인상되고, 육아휴직 동료를 위한 업무 분담 지원금 월 20만 원이 새로 도입됩니다.
병사 월급 인상
병장 150만 원, 상병 120만 원, 일병 90만 원, 이병 75만 원으로 각 월급이 인상될 예정입니다. 내일준비지원금에 정부 지원금을 더해 적립하면 만기 해지 시 최대 2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상속세 개편
25년 만에 상속세 개편으로 최고세율이 50%에서 40%로 하향됩니다. 과표 구간도 조정되며, 자녀공제가 1인당 5000만 원에서 5억 원으로 대폭 인상됩니다.
국가장학금 수혜, 대학생의 75%로 대폭 증가
현재 200만 대학생 중 약 100만 명이 국가장학금 지원을 받았으며, 새해부터 지원 구간이 8구간에서 9구간으로 확대되어 수혜 대상이 약 150만 명으로 늘어나 전체 대학생의 75%가 혜택을 받게 됩니다.
인스타그램 미성년자 계정 비공개
인스타그램이 미성년자 보호 기능을 도입하여, 18세 미만 사용자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팔로워 및 기존 팔로워에게서만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시간과 유해 콘텐츠 필터링이 강화될 예정입니다.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어 고등학생들이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취득한 학점을 누적해 졸업할 수 있게 됩니다.
9급 공무원 시험 개편
국가·지방직 9급 공채 및 지역 인재 9급 시험에서 국어와 영어 과목이 암기 중심에서 현장 직무 중심의 출제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진입
2025년 대한민국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로 분류됩니다. 보건복지부 측은 2024년 7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000만 62명으로 전체의 19.5%를 차지하며, 올해는 20.3%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Editor : 수연
새해의 변화에 따라 우리가 알아야 할 것
© Shutterstock
다양한 변화가 예상되는 2025년. 최저임금이 1만 원대에 진입하고, 육아휴직 급여가 인상되는데요. 그밖에 달라지는 주요 정책과 제도 변화를 미리 살펴보려 합니다.
최저임금 시간당 10,030원
2025년 최저임금이 시간당 10,030원으로 확정되었습니다. 1988년 제도 도입 이후 처음으로 1만 원을 넘게 되었고, 2024년의 최저임금인 9,860원에서 1.7% 인상된 금액입니다.
육아휴직 급여 인상
2025년부터 육아휴직 급여 상한액이 첫 3개월은 250만 원, 다음 3개월은 200만 원, 나머지 6개월은 160만 원으로 인상됩니다.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급여 상한액은 220만 원으로 오르고, 배우자 출산휴가 급여는 5일에서 20일로 늘어납니다. 또한 대체인력지원금은 월 120만 원으로 인상되고, 육아휴직 동료를 위한 업무 분담 지원금 월 20만 원이 새로 도입됩니다.
병사 월급 인상
병장 150만 원, 상병 120만 원, 일병 90만 원, 이병 75만 원으로 각 월급이 인상될 예정입니다. 내일준비지원금에 정부 지원금을 더해 적립하면 만기 해지 시 최대 2000만 원을 모을 수 있습니다.
상속세 개편
25년 만에 상속세 개편으로 최고세율이 50%에서 40%로 하향됩니다. 과표 구간도 조정되며, 자녀공제가 1인당 5000만 원에서 5억 원으로 대폭 인상됩니다.
국가장학금 수혜, 대학생의 75%로 대폭 증가
현재 200만 대학생 중 약 100만 명이 국가장학금 지원을 받았으며, 새해부터 지원 구간이 8구간에서 9구간으로 확대되어 수혜 대상이 약 150만 명으로 늘어나 전체 대학생의 75%가 혜택을 받게 됩니다.
인스타그램 미성년자 계정 비공개
인스타그램이 미성년자 보호 기능을 도입하여, 18세 미만 사용자 계정을 비공개로 전환할 예정입니다. 팔로워 및 기존 팔로워에게서만 메시지를 받을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시간과 유해 콘텐츠 필터링이 강화될 예정입니다.
고교학점제 전면 도입
고교학점제가 전면 도입되어 고등학생들이 진로와 적성에 맞는 과목을 선택해 이수하고, 취득한 학점을 누적해 졸업할 수 있게 됩니다.
9급 공무원 시험 개편
국가·지방직 9급 공채 및 지역 인재 9급 시험에서 국어와 영어 과목이 암기 중심에서 현장 직무 중심의 출제 방식으로 변경됩니다.
대한민국 초고령사회 진입
2025년 대한민국은 초고령 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되며, 65세 이상 고령 인구가 전체 인구의 20% 이상을 차지하는 사회로 분류됩니다. 보건복지부 측은 2024년 7월 기준, 65세 이상 고령 인구는 1000만 62명으로 전체의 19.5%를 차지하며, 올해는 20.3%로 증가할 것이라고 밝혔습니다.
Editor : 수연